올바르게 절하는 법

올바른 장례식 예절

예복

[ 남자 ]
원래 바지, 저고리, 조끼, 마고자 위에 두루마기를 걸치고, 옥색 도포를 입고, 머리에는 갓을 썼다. 그러나 요즘은 가능하다면 검정색 계통의 겉옷을 입고, 두루마기를 걸치면 좋을 것이다.

[ 여자 ]
3년상 안에는 소복을 하고, 기제사 때에는 옥색으로 된 천담복을 입고, 머리에는 낭자와 민족두리를 쓰고, 패물장식을 하지 않았다. 그러나 단정한 차림새의 치마 저고리를 갖추는 정도면 될 것이다.

올바른 장례식 절하는 방법

간혹 절하는 예법을 제대로 배우지 못한 사람들은 양쪽 손끝을 겹치지 않고, 좌우로 각기 떨어지게 벌린 채 절을 하는데, 이것은 최소한 동등하거나 윗사람이 아랫사람의 절을 받을 때, 답례로 하는 반절과 같은 것으로 주의한다.

배례를 올릴 때에는
양손을 가지런히 피고, 왼쪽 중지 손톱부분이 오른손 중지 손톱위에 포개어 지도록 올린 후
양쪽손과 엄지손끼리 마주하도록 하며 손바닥을 가지런히 펼치고
자기 가슴 높이 정도까지 치켜서 맞잡은 두 손을 앞으로 내밀어 허리를 구부리고
양손이 엇갈린 손등 부위에 이마가 맞닿을 정도까지 고개를 공손히 수그려 3초 이상 조아린 후
일어설 때는 오른쪽 무릎을 먼저 내밀어 세우고, 맞잡은 두 손을 그 위에 올려 얹어서 힘을 주고
천천히 일어나 두 번 절하고 반 절을 한다.

상주(喪主) 표시

완장(남자)
완장은 삼베로 만들어 졌으며, 검은 색의 줄이 그어져 있는데, 두줄과 한줄 그리고 무줄이 있다.
· 두줄 : 아들과 사위, 아들이 없을 시에는 장손이 착용한다.
· 한줄 : 기혼인 복인(반드시 상복을 입지 않고 완장만 착용을 해도 복인이 된다.)
· 무줄 : 미혼인 복인(주로 손자들이 착용하게 된다.)
· 복인은 : 부(父)계 8촌, 모(母)계 4촌까지로 한다.
리본(여자)
무명천으로 만들어진 머리핀을 말한다.
· 남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좌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는다.
· 여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우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는다.
상장(남,여)
장례를 마친 이후에도 상을 당했다는 표시를 하는것을 말한다.
· 남자는 삼베로 만든 리본을 왼쪽 가슴에 부착한다.
· 여자는 무명천으로 만든 리본(머리핀)을, 남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좌측머리, 여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우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는다.
· 상장은 장례를 마친 이후에도 탈상때까지 직계가족만 착용한다.
리스트
magnifiercrosschevron-downchevron-down-circle